추진배경 및 필요성

- 정부의 공공보건의료 발전 종합대책(‘18.10.), 지역의료 강화대책(’19.11.)에 따라 지역 간 의료격차 해소 및 필수의료 서비스의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전달 체계 확립 필요
- 수도권과 대도시로 양질의 의료자원이 집중되고, 지역 내 보건의료기관 간 서비스 연계 및 협력이 미흡한 상황
- 생명·건강과 직결된 필수의료* 분야를 중심으로 지역 간 의료접근성 및 건강 격차 심각, 필수의료가 보장될 수 있도록 지역 내 보건의료기관들이 협력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
필수의료 분야
- ① 응급·외상·심뇌혈관 등 중증의료
- ② 산모·신생아·어린이 의료
- ③ 암
- ④ 재활
- ⑤ 지역사회 건강관리(만성질환, 정신, 장애인)
- ⑥ 감염 및 환자안전 등
 
시도 및 중진료권별 지역 건강 격차 | ||
---|---|---|
구분 | 17개 시도 | 70개 지역 |
치료가능사망률 (인구 10만명당, '21) | 서울 38.6, 인천 51.5 | 서울동남권 32.8, 경기포천권 60.7 |
중증도 보정 입원 사망비 ('17∼'21) | 서울 0.87, 대구 1.14 | 충남공주권 0.69, 경남거창권 1.40 |
중증도 보정 응급 사망비 ('19∼'21) | 서울 0.90, 대구 1.23 | 충남공주권 0.78, 경남거창권 1.84 |
중증도 보정 심혈관질환 사망비 ('19∼'21) | 광주 0.74, 울산 1.55 | 충남공주권 0.55, 강원영월권 1.91 |
중증도 보정 뇌혈관질환 사망비 ('19∼'21) | 서울 0.82, 전남 1.36 | 서울동남권 0.75, 경기파주권 1.96 |
계획되지 않은 재입원비 ('17∼'21) | 충남 0.91, 전남 1.16 | 제주서귀포권 0.76, 강원영월권 1.54 |
[치료가능사망률(인구 10만명 당)]
[중증도 보정 입원사망비]

- 국립대병원-지역 병·의원-보건소-관련기관 등으로 이어지는 필수의료 전달체계를 구축하여 치료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재발 방지 필요
- 응급 등 필수중증의료, 지역사회 건강관리는 지역보건의료기관 간 협력이 필수적임에도 개별기관들이 분절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현실
- 국립대병원과 지방의료원 등 공공병원을 중심으로 책임의료기관 지정, 권역 및 지역* 내 필수의료 협력 유도·조정 기능 수행
책임의료기관 역할 및 기능
- 고난이도 필수의료 진료기능을 수행하면서, 권역 내 협력체계 총괄·조정 및 지역의료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파견 등 지원 수행
- 중진료권 단위에서 지역의료기관 등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별 필수의료 문제를 발굴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연계·조정 등 역할 수행

- 주요 사망 원인
- 2023년 경기도의 연령표준화사망률을 전국 지표와 비교해 보면,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심장질환은 두번째로 높은 사망 원인으로, 이천시와 여주시 모두 전국 및 경기도와 유사한 수치를 보이고 있음. 특히 여주시의 경우 뇌졸중 등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효과적인 질환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
경기도 시군구별 주요사인별 연령표준화사망률(2023년) | 단위: 인구 10만 명당 명 | |||||||||
지역 | 암(악성신생물) | 심장질환 | 폐렴 | 뇌혈관질환 | 고의적 자해(자살) | 당뇨병 | 알츠하이머병 | 간질환 | 고혈압성질환 | 패혈증 |
---|---|---|---|---|---|---|---|---|---|---|
전국 | 79.2 | 26.1 | 19.9 | 19.5 | 22.7 | 6.6 | 9.0 | 5.2 | 8.5 | 5.3 |
경기 | 77.9 | 22.7 | 18.0 | 20.1 | 21.2 | 8.7 | 4.8 | 7.7 | 6.3 | 4.8 |
이천시 | 77.2 | 24.3 | 19.3 | 21.8 | 23.3 | 8.2 | 8.6 | 9.4 | 4.1 | 7.0 |
여주시 | 84.8 | 26.6 | 20.6 | 30.0 | 20.9 | 6.0 | 5.3 | 6.5 | 3.7 | 8.4 |
|
경기도 시군구별 주요사인별 연령표준화사망률(2022년) | 단위: 인구 10만 명당 명 | |||||||||
지역 | 전국 | 경기 | 이천시 | 여주시 | ||||||
---|---|---|---|---|---|---|---|---|---|---|
암(악성신생물) | 80.9 | 77.6 | 78.9 | 85.1 | ||||||
심장질환 | 27.6 | 24.2 | 20.2 | 24.4 | ||||||
폐렴 | 19.3 | 19.2 | 25.8 | 21.6 | ||||||
뇌혈관질환 | 21.3 | 21.4 | 23.7 | 21.7 | ||||||
고의적 자해(자살) | 21.2 | 19.8 | 21.5 | 24.1 | ||||||
당뇨병 | 9.4 | 8.4 | 11.1 | 11.3 | ||||||
알츠하이머병 | 7.3 | 5.4 | 10.1 | 6.4 | ||||||
간질환 | 9.1 | 8.2 | 7.3 | 10.4 | ||||||
고혈압성질환 | 5.2 | 6.2 | 6.1 | 5.7 | ||||||
패혈증 | 5.3 | 5.3 | 7.3 | 6.1 | ||||||
|
-
조기증상 인지율
- 2023년 기준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율은 이천시 32.8%, 여주시 42.7%임.
- 2023년 기준 뇌졸중 조기증상 인지율은 이천시 44.7%, 여주시 53.1%임.
- 2020년부터 이천시 및 여주시 모두 경기 평균에 비해 지표값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어 지표값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
경기도 심뇌혈관질환 현황 (2023년) | 단위: %(표준화율) | |||||||||
구분 | 지표 | 전국 | 경기 | 이천시 | 여주시 | |||||
---|---|---|---|---|---|---|---|---|---|---|
심근경색 | 조기증상인지율* | 52.9 | 52.9 | 32.8 | 42.7 | |||||
뇌졸중 | 조기증상인지율** | 62.0 | 58.6 | 44.7 | 53.1 | |||||
|
경기도 심뇌혈관질환 현황(2021, 2022년) | 단위: %(표준화율) | |||||||||
구분 | 지표 | 전국 | 경기 | 이천시 | 여주시 | |||||
---|---|---|---|---|---|---|---|---|---|---|
심근경색 | 조기증상인지율* | 47.1 | 44.5 | 36.3 | 42.8 | |||||
뇌졸중 | 조기증상인지율** | 57.5 | 54.4 | 45.6 | 51.1 | |||||
|
- 이천진료권의 사망수준은 전국 및 경기 대비 높고, 이천시 3대 사망원인은 악성신생물, 폐렴, 뇌혈관질환이며, 여주시는 악성신생물, 폐렴, 심장질환으로, 필수 중증응급질환인 심뇌혈관질환 응급이송체계에 대한 안전망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