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버튼
  • home버튼
추진배경 및 필요성
추진배경 아이콘이미지추진배경
  • 정부의 공공보건의료 발전 종합대책(‘18.10.), 지역의료 강화대책(’19.11.)에 따라 지역 간 의료격차 해소 및 필수의료 서비스의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전달 체계 확립 필요
  • 수도권과 대도시로 양질의 의료자원이 집중되고, 지역 내 보건의료기관 간 서비스 연계 및 협력이 미흡한 상황
  • 생명·건강과 직결된 필수의료* 분야를 중심으로 지역 간 의료접근성 및 건강 격차 심각, 필수의료가 보장될 수 있도록 지역 내 보건의료기관들이 협력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
필수의료 분야
  • ① 응급·외상·심뇌혈관 등 중증의료
  • ② 산모·신생아·어린이 의료           
  • ③ 암
  • ④ 재활
  • ⑤ 지역사회 건강관리(만성질환, 정신, 장애인)
  • ⑥ 감염 및 환자안전 등
     
건강결과 지역 격차 테이블 - 구분,17개시도,70개지역
시도 및 중진료권별 지역 건강 격차
구분 17개 시도 70개 지역
치료가능사망률 (인구 10만명당, '21) 서울 38.6, 인천 51.5 서울동남권 32.8, 경기포천권 60.7
중증도 보정 입원 사망비 ('17∼'21) 서울 0.87, 대구 1.14 충남공주권 0.69, 경남거창권 1.40
중증도 보정 응급 사망비 ('19∼'21) 서울 0.90, 대구 1.23 충남공주권 0.78, 경남거창권 1.84
중증도 보정 심혈관질환 사망비 ('19∼'21) 광주 0.74, 울산 1.55 충남공주권 0.55, 강원영월권 1.91
중증도 보정 뇌혈관질환 사망비 ('19∼'21) 서울 0.82, 전남 1.36 서울동남권 0.75, 경기파주권 1.96
계획되지 않은 재입원비 ('17∼'21) 충남 0.91, 전남 1.16 제주서귀포권 0.76, 강원영월권 1.54
  • 치료가능사망률(인구 10만명당) 격차
    [치료가능사망률(인구 10만명 당)]
  • 중증도 보정 입원사망비
    [중증도 보정 입원사망비]
추진배경 아이콘이미지필요성
  • 국립대병원-지역 병·의원-보건소-관련기관 등으로 이어지는 필수의료 전달체계를 구축하여 치료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재발 방지 필요
  • 응급 등 필수중증의료, 지역사회 건강관리는 지역보건의료기관 간 협력이 필수적임에도 개별기관들이 분절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현실
  • 국립대병원과 지방의료원 등 공공병원을 중심으로 책임의료기관 지정, 권역 및 지역* 내 필수의료 협력 유도·조정 기능 수행
책임의료기관 역할 및 기능
  • 권역책임의료기관 이미지
  • 고난이도 필수의료 진료기능을 수행하면서, 권역 내 협력체계 총괄·조정 및 지역의료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파견 등 지원 수행
  • 지역책임의료기관 이미지
  • 중진료권 단위에서 지역의료기관 등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별 필수의료 문제를 발굴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연계·조정 등 역할 수행
추진배경 아이콘이미지이천진료권의 현황 및 문제점
  • 주요 사망 원인
    - 2023년 경기도의 연령표준화사망률을 전국 지표와 비교해 보면,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심장질환은 두번째로 높은 사망 원인으로, 이천시와 여주시 모두 전국 및 경기도와 유사한 수치를 보이고 있음. 특히 여주시의 경우 뇌졸중 등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효과적인 질환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
경기도 시군구별 주요사인별 연령표준화사망률 - 지역,암,심장질환,폐렴,뇌혈관질환,고의적자해,당뇨병,알츠하이머병,간질환,고혈압성질환,패혈증
경기도 시군구별 주요사인별 연령표준화사망률(2023년) 단위: 인구 10만 명당 명
지역 암(악성신생물) 심장질환 폐렴 뇌혈관질환 고의적 자해(자살) 당뇨병 알츠하이머병 간질환 고혈압성질환 패혈증
전국 79.2 26.1 19.9 19.5 22.7 6.6 9.0 5.2 8.5 5.3
경기 77.9 22.7 18.0 20.1 21.2 8.7 4.8 7.7 6.3 4.8
이천시 77.2 24.3 19.3 21.8 23.3 8.2 8.6 9.4 4.1 7.0
여주시 84.8 26.6 20.6 30.0 20.9 6.0 5.3 6.5 3.7 8.4
  • 악성신생물(암): C00-C97; 심장질환: I20-I51; 폐렴: J12-J18; 뇌혈관질환: I60-I69; 고의적자해(자살): X60-X84; 당뇨병: E10-E14; 알츠하이머병: G30; 간질환: K70-K76; 고혈압성질환: I10-I13; 패혈증: A40-A41
  • 자료: KOSIS (보건> 사망원인통계> 시군구/사망원인(50항목)/성/ 사망자수, 사망률, 연령표준화사망률(1998~))
경기도 시군구별 주요사인별 연령표준화사망률 - 지역,암,심장질환,폐렴,뇌혈관질환,고의적자해,당뇨병,알츠하이머병,간질환,고혈압성질환,패혈증
경기도 시군구별 주요사인별 연령표준화사망률(2022년) 단위: 인구 10만 명당 명
지역 전국 경기 이천시 여주시
암(악성신생물) 80.9 77.6 78.9 85.1
심장질환 27.6 24.2 20.2 24.4
폐렴 19.3 19.2 25.8 21.6
뇌혈관질환 21.3 21.4 23.7 21.7
고의적 자해(자살) 21.2 19.8 21.5 24.1
당뇨병 9.4 8.4 11.1 11.3
알츠하이머병 7.3 5.4 10.1 6.4
간질환 9.1 8.2 7.3 10.4
고혈압성질환 5.2 6.2 6.1 5.7
패혈증 5.3 5.3 7.3 6.1
  • 악성신생물(암): C00-C97; 심장질환: I20-I51; 폐렴: J12-J18; 뇌혈관질환: I60-I69; 고의적자해(자살): X60-X84; 당뇨병: E10-E14; 알츠하이머병: G30; 간질환: K70-K76; 고혈압성질환: I10-I13; 패혈증: A40-A41
  • 자료: KOSIS (보건>사망원인통계>시군구/사망원인(50항목)/성/ 사망자수, 사망률, 연령표준화사망률(1998~))
  • 조기증상 인지율
    - 2023년 기준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율은 이천시 32.8%, 여주시 42.7%임.
    - 2023년 기준 뇌졸중 조기증상 인지율은 이천시 44.7%, 여주시 53.1%임.
    - 2020년부터 이천시 및 여주시 모두 경기 평균에 비해 지표값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어 지표값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
경기도 심뇌혈관질환 현황 - 구분,지표,전국,경기,이천시,여주시
경기도 심뇌혈관질환 현황 (2023년) 단위: %(표준화율)
구분 지표 전국 경기 이천시 여주시
심근경색 조기증상인지율* 52.9 52.9 32.8 42.7
뇌졸중 조기증상인지율** 62.0 58.6 44.7 53.1
  • *심근경색 조기증상 인지율: 심근경색 조기증상에 관한 5개 문항의 정답을 모두 맞춘 사람의 수/ 조사대상 응답자 수 × 100 (전국: 258개 시군구 중앙값)
  • **뇌졸중 조기증상 인지율: 뇌졸중 조기증상에 관한 5개 문항의 정답을 모두 맞춘 사람의 수/ 조사대상 응답자 수 × 100 (전국: 258개 시군구 중앙값)
  • 자료: 질병관리청, 2023 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
경기도 심뇌혈관질환 현황 - 구분,지표,전국,경기,이천시,여주시
경기도 심뇌혈관질환 현황(2021, 2022년) 단위: %(표준화율)
구분 지표 전국 경기 이천시 여주시
심근경색 조기증상인지율* 47.1 44.5 36.3 42.8
뇌졸중 조기증상인지율** 57.5 54.4 45.6 51.1
  • *심근경색 조기 증상 인지율: 심근경색증 조기 증상에 관한 5개 문항의 정답을 모두 맞춘 사람의 수 / 조사대상 응답자 수 × 100 (전국: 255개 시군구 중앙값)
  • **뇌졸중 조기 증상 인지율: 뇌졸중 조기 증상에 관한 5개 문항의 정답을 모두 맞춘 사람의 수 / 조사대상 응답자 수 × 100 (전국: 255개 시군구 중앙값)
  • 자료: 질병관리청, 2022 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
    KOSIS (보건>건강검진통계>대사증후군>시군구별 성별 대사증후군 위험요인별 현황)
  • 이천진료권의 사망수준은 전국 및 경기 대비 높고, 이천시 3대 사망원인은 악성신생물, 폐렴, 뇌혈관질환이며, 여주시는 악성신생물, 폐렴, 심장질환으로, 필수 중증응급질환인 심뇌혈관질환 응급이송체계에 대한 안전망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자 함.
탑버튼이미지